
내용
1. 신주인수권부사채란?
2.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작동방식과 예시
3. 전환사채와의 비교
신주인수권부사채(BW)는 기업이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사채의 한 형태로, 투자자에게 일정 기간 내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발행 기업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신주인수권)가 부여된 채권입니다. 이 권리는 채권에 내재된 옵션으로, 채권 발행 시 함께 발행됩니다.
1. 신주인수권부사채란?
신주인수권부사채(BW)는 사채와 신주인수권이 결합된 복합 금융 상품입니다. 채권을 보유하면서 주식까지 받을 수 있는 옵션이 부여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때 신주인수권과 사채의 결합 방식에 따라 분리형과 비분리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분리형 신주인수권부사채
1. 독립형 구조: 사채와 신주인수권이 별개의 상품으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2. 거래: 사채와 신주인수권을 개별적으로 매도하거나 매입할 수 있습니다.
3. 권리 행사: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더라도 사채는 별개로 보유하거나 매도할 수 있습니다.
예시)
A기업이 분리형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했다고 가정합니다. 투자자는 이를 매입하면서 사채와 신주인수권을 개별적으로 보유하게 됩니다. 이후, 주가가 상승하면 신주인수권만을 행사하거나 매도하고, 사채는 만기까지 보유하여 이자 수익과 원금 상환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투자자가 신주를 받았을 때 받은 주식을 매각해도 채권은 그대로 남아 있는 형태입니다.
비분리형 신주인수권부사채
1. 일체형 구조: 사채와 신주인수권이 하나의 상품으로 결합되어, 분리할 수 없습니다.
2. 거래: 사채를 매도하거나 매입할 때, 신주인수권도 함께 거래됩니다.
3. 권리 행사: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면, 사채를 보유한 상태에서 신주를 인수할 수 있습니다.
예시)
B기업이 비분리형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했다고 가정합니다. 투자자는 이를 매입하면서 채권과 신주인수권을 함께 보유하게 됩니다. 주가 상승 시 신주인수권을 행사해 주식을 매입하면서도, 채권은 그대로 유지되어 만기 시 원금을 상환받게 됩니다.
즉, 투자자가 신주를 받았을 때 받은 신주를 매각하면 채권도 소멸되는 형태입니다.
< 차이점 비교 >
분리형 | 비분리형 | |
구조 | 사채와 신주인수권이 분리됨 | 사채와 신주인수권이 결합됨 |
거래 | 개별적으로 매도 및 매입 가능 | 하나의 상품으로 함께 거래됨 |
권리행사 | 신주인수권 행사 시 사채와 독립적으로 유지 가능 | 신주인수권 행사 시 사채 보유 유지 |
유연성 | 상대적으로 높음 | 상대적으로 낮음 |
투자자 | 적극적인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사채와 신주인수권을 개별적으로 관리하여 투자 전략을 다양화할 수 있습니다. 주가 변동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사채와 신주인수권이 결합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한 번의 거래로 두 가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기업 | 자금 조달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투자자 유치를 다양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발행 절차가 더 복잡할 수 있습니다. | 자금 조달이 용이하며, 발행 절차가 비교적 간단합니다. |
2.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작동방식과 예시
1. 발행 및 매입
기업은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고, 투자자는 이를 매입합니다. 투자자는 이자 수익을 기대하면서 채권을 보유하고, 동시에 주식의 가격이 오를 경우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기회를 가집니다.
2. 이자 지급
사채 부분은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합니다. 이는 일반 채권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3. 신주인수권 행사
신주인수권 행사 기간 내에 투자자는 미리 정해진 행사가격으로 발행 기업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투자자는 사채를 소유한 상태에서 신주를 추가로 취득하게 됩니다. 신주인수권이 행사되면, 투자자는 현금을 지급하고 신주를 인수합니다. 이때 발행 기업의 자본금이 증가합니다.
4. 사채 상환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든 하지 않든, 만기 시에는 사채 원금이 상환됩니다.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지 않은 경우, 투자자는 원금과 함께 마지막 이자를 받습니다.
예시: A기업의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발행 조건 |
|
1. 발행 및 매입
A기업은 1억원 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합니다. 투자자는 이 채권을 매입함으로써 연 3%의 이자를 받으며, 5년 후 만기에 원금을 상환받을 권리를 갖게 됩니다. 또한, 이 채권에는 주당 10,000원에 A기업의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신주인수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이자 지급
매년 A기업은 채권의 이자율에 따라 연 3%, 즉 300만 원의 이자를 투자자에게 지급합니다. 이는 일반 채권과 동일한 방식입니다.
3. 신주인수권 행사
- 주가 상승 시: 2년 후, A기업의 주가가 15,000원으로 상승했다고 가정합니다. 투자자는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여 주당 10,000원에 A기업의 주식을 매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500주를 매입하기로 결정하면, 500주 × 10,000원 = 5,000,000원의 현금을 지급하고 A기업의 500주를 받습니다. 이 경우, 투자자는 주당 5,000원의 이익(총 2,500,000원)을 얻게 됩니다.
- 주가 하락 시: 반대로, 주가가 10,000원 이하로 하락한 경우, 투자자는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지 않고, 채권의 이자만 받으며 만기 시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습니다.
4. 사채 상환
- 신주인수권 행사 후: 신주인수권을 행사한 투자자는 여전히 사채의 원금 상환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5년 만기가 되면 A기업은 채권의 원금 1억 원을 투자자에게 상환합니다.
- 신주인수권 미행사 시: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지 않은 투자자도 만기 시 원금 1억 원을 상환받습니다.
3. 전환사채와의 비교
전환사채 | 신주인수권부사채 | |
대상 주식 | 신주 | 신주 |
권리 | 주식 전환 | 신주 매수 |
채권 | 소멸 | 유지(분리형) |
주식수 | 증가 | 증가 |
부채비율 | 감소 | 증가 |
주주가치 | 훼손 | 훼손 |
전환사채에 대해 아래글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전환사채란?
목차1. 전환사채란?2. 전환사채권 발행결정 공시 해석하기3. 자금조달의 목적4. 전환사채의 장점과 단점5. 전환사채의 실제 사례 전환사채(CB)는 투자자와 기업 모두에게 매력적인 투자 수단으로,
ehrtjtlf.tistory.co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식 초보도 알면 돈 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자배정 유상증자 (0) | 2024.06.19 |
---|---|
유상증자란 (0) | 2024.06.18 |
무상증자란: 권리락, 절차와 공시해석 (0) | 2024.06.15 |
무차입 공매도 뜻: 문제점과 금지 (0) | 2024.06.13 |
전환사채 뜻, 장단점, 신주인수권부사채와의 차이점 (0) | 2024.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