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전환사채란?
2. 전환사채권 발행결정 공시 해석하기
3. 자금조달의 목적
4. 전환사채의 장점과 단점
5. 전환사채의 실제 사례
6. 신주인수권부사채와의 차이점
전환사채(CB)는 투자자와 기업 모두에게 매력적인 투자 수단으로, 채권과 주식의 장점을 결합한 금융 상품입니다. 지금부터 전환사채의 기본 개념과 장단점, 발행 목적 및 사례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전환사채란?
전환사채(CB)는 채권인데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입니다. 즉, 투자자는 원금을 돌려받지 않고 그 금액만큼 발행회사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채권을 주식으로 바꿔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이자금리가 낮지만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는 주식으로 전환해서 시세차익을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기가 되었을 때 주가가 낮다면 그냥 돈으로 받으면 됩니다. 주식으로 받든 지 돈으로 받든 지 양자택일하면 됩니다. 즉 채권자 마음대로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주가가 1만원인 A회사에 10만원을 빌려줍니다. (주식으로 따지면 10주겠죠?)
이때 전환사채권을 받게 되는데....
5년 뒤 이자 포함해서 12만원을 받거나, 주식으로 10주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 후 5년이 되어... A회사의 주가가 2만원으로 올랐다면?
이자 포함 12만원을 받는 것보다 주식 10주를 받는 게 훨씬 이득이겠죠?
반대로,
A회사의 주가가 5천원으로 떨어졌다면?
그냥 돈으로 받는 것이 낫습니다.
그런데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대개 전환사채 발행은 주가에 악재로 작용합니다. 주식수가 증가해 주당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주주가치가 훼손될 수 있습니다.
기업가치는 변함없는데 발행주식수가 늘어나면 내가 보유한 주식가치는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2. 전환사채권 발행결정 공시 해석하기
기업들의 공시를 보려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다트 사이트에 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내가 투자했거나 투자 할 기업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항상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다트 바로가기
전자공시시스템
많이 본 문서 최근 3영업일 기준 가장 많이 본 공시를 보여줍니다.
dart.fss.or.kr
즐겨찾기 해두시고 항상 확인하세요!
다음은 코스닥 대주전자재료 회사의 전환사채권 발행결정 공시입니다.
대주전자재료는 180억원의 전환사채를 발행하였습니다.
자금조달의 목적은 시설자금 입니다.
세부목적은 '이차전지용 음극재 제조시설 구축' 이라고 합니다.
자금조달의 목적이 운영자금이라면 잘 살펴보셔야 합니다. 한마디로 회사를 운영할 돈이 없다는 뜻이니까요.
전환사채 발행이자는 만기시 2%입니다.
채권자가 주식전환을 원하지 않을 경우 이자 2%와 원금을 사채만기일 2029년 6월 17에 지급해야 합니다.
이자율이 높은 전환사채는 회사가 너무 돈이 없어서 비싼 이자라도 내면서 빌리겠다는 의미이니 악재로 해석해야 합니다. 표면이자율은 1%, 만기이자율은 2% 이내가 좋다고 합니다.
사채발행방법은 *사모입니다.
사모는 소수의 일반 투자자 또는 전문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모에 대해 아래글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사모펀드란
내용1. 사모펀드란?2. 전문투자형 사모펀드3. 경영참여형 사모펀드4. 사모펀드의 장단점5. 국내 사모펀드 약정액 순위 TOP10 사모펀드는 높은 수익을 추구하지만, 그만큼 위험도 크고 투자 구조가
ehrtjtlf.tistory.com
전환비율: 100%
전환가액: 1주당 123,922원 (현재 대주전자재료의 주가는 123,900원)
주식수:145,252 (모두 전환했을 때에 늘어나는 주식 수)
전환청구기간: 1년이 지난 2025년 06월 17일부터입니다.
예를 들어,
1주당 123,922원 주식을 1,000개 받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전환 시 주가가 150,000원으로 올랐다면 150,000원 - 123,922원 = 26,078원의 이익.
26,078 X 1,000 = 26,078,000원의 이익이 남습니다.
전환사채권 발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세 가지!
목적, 이자, 전환가액입니다. 꼭 확인하세요.
3. 자금조달의 목적
1. 시설자금
정의: 시설자금은 기업이 생산설비, 건물, 기계, 장비 등의 자산을 구입하거나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금을 말합니다
사례: 테슬라가 전환사채를 발행하여 모델 3의 생산을 늘리고, 사이버트럭 및 모델 Y의 개발을 진행한 경우.
2. 영업양수자금
정의: 영업양수자금은 기업이 다른 기업의 사업부문이나 특정 자산을 인수하는 데 사용하는 자금을 말합니다.
사례: 카카오가 전환사채를 발행하여 주요 IT 기업의 특정 부문을 인수한 경우.
3. 운영자금
정의: 운영자금은 기업이 일상적인 운영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자금을 말합니다.
사례: 스타벅스가 팬데믹 기간 동안 운영 자금을 확보하여 매장 운영을 지원한 경우.
4. 채무상환자금
정의: 채무상환자금은 기업이 기존에 발행한 채무를 상환하는 데 사용하는 자금을 말합니다.
사례: 회사가 기존 부채를 상환하기 위해 전환사채를 발행하여 부채 비율을 낮추고 재무 건전성을 확보한 경우.
5. 타 법인 증권 취득자금
정의: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은 기업이 다른 기업의 주식이나 채권을 취득하는 데 사용하는 자금을 말합니다.
사례: 기업이 유망 스타트업의 주식을 취득하기 위해 전환사채를 발행한 경우.
6. 기타 자금
정의: 기타 자금은 특정 목적 없이 다양한 기업의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자금을 말합니다.
사례: 기업이 전환사채를 발행하여 비상 자금을 확보하거나 유동성을 높이는 경우.
4. 전환사채의 장점과 단점
장 점 | 단 점 | |
기업 측면 | 자금 조달 용이: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자금 조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주식 희석 방지: 초기에는 주식 발행 없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
주식 희석 위험: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면 기존 주주들의 지분율이 희석될 수 있습니다. 이자 지급 부담: 채권에 대한 이자를 정기적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
투자자 측면 | 안정성: 일반 채권처럼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성장 가능성: 주가 상승 시 주식으로 전환하여 자본 이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주식 전환 위험: 주가가 하락하면 주식 전환의 이점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이자율 낮음: 일반 회사채보다 이자율이 낮아 상대적인 수익이 적을 수 있습니다. |
5. 전환사채의 실제 사례
테슬라(Tesla)의 전환사채 발행 사례
배경 및 목적: 테슬라는 2019년과 2021년에 대규모 전환사채를 발행했습니다. 이러한 발행의 주요 목적은 연구개발(R&D) 자금, 생산 설비 확장, 운영 자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구조 및 조건: 2019년 발행된 전환사채는 1.25%의 이자율로, 2024년까지 만기가 설정되었습니다. 발행 시 전환 가격은 테슬라 주가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는 주가 상승 시 투자자들이 전환을 유도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결과: 테슬라는 이 자금을 통해 모델 3의 생산을 늘리고, 새로운 모델인 사이버트럭(Cybertruck) 및 모델 Y의 개발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테슬라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였고, 이는 테슬라의 자본 구조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네이버(Naver)의 전환사채 발행 사례
배경 및 목적: 네이버는 2020년에 약 5억 달러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하였습니다. 발행의 주요 목적은 글로벌 사업 확장과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위한 자금 조달이었습니다.
구조 및 조건: 이 전환사채는 제로 쿠폰 채권으로, 이자 지급 없이 발행되었습니다. 전환 가격은 네이버 주가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설정되었으며, 전환 기간은 발행 후 5년 내로 설정되었습니다.
결과: 네이버는 이 자금을 통해 일본, 동남아시아 등 해외 시장에서의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새로운 서비스와 기술 개발에 투자했습니다. 주가 상승과 함께 많은 투자자들이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여, 네이버의 자본 구조가 강화되었습니다.
스타벅스(Starbucks)의 전환사채 발행 사례
배경 및 목적: 스타벅스는 2020년 팬데믹 상황에서 유동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 확장과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전환사채를 발행했습니다.
구조 및 조건: 이 전환사채는 약 7억 5천만 달러 규모로, 2025년 만기, 0.375%의 이자율로 발행되었습니다. 전환 가격은 당시 스타벅스 주가보다 약 25% 높은 수준으로 설정되었습니다.
결과: 스타벅스는 팬데믹 기간 동안 매장 운영을 지원하고, 디지털 주문 시스템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주가가 회복되고 상승하면서 투자자들이 주식으로 전환하여, 스타벅스의 자본 구조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6. 신주인수권부사채와의 차이점
신주인수권부사채에 대해 아래글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내용1. 신주인수권부사채란?2.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작동방식과 예시3. 전환사채와의 비교 신주인수권부사채(BW)는 기업이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사채의 한 형태로, 투자자에게 일정 기간
ehrtjtlf.tistory.com
< 신주인수권부사채와의 차이점 >
전환사채 | 신주인수권부사채 | |
대상 주식 | 신주 | 신주 |
권리 | 주식 전환 | 신주 매수 |
채권 | 소멸 | 유지(분리형) |
주식수 | 증가 | 증가 |
부채비율 | 감소 | 증가 |
주주가치 | 훼손 | 훼손 |
같이 보시면 도움이 되는 글
교환사채란
내용1. 교환사채(EB)란?2. 교환사채의 장점3. 교환사채 투자 시 주의사항4. LG화학 교환사채 사례 교환사채(EB)는 발행 회사의 주식이 아닌, 다른 회사의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
ehrtjtlf.tistory.com
메자닌 금융이란: 메자닌 채권
내용1. 메자닌 금융이란?2. 메자닌 금융의 특징3. 주요 상품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 이탈리아어 'mezzanino'에서 유래한 '메자닌(mezzanine)'은 1층과 2층 사이의 라운지 공간을 의미합
ehrtjtlf.tistory.com
'주식 초보도 알면 돈 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상증자란: 권리락, 절차와 공시해석 (0) | 2024.06.15 |
---|---|
무차입 공매도 뜻: 문제점과 금지 (0) | 2024.06.13 |
주식 액면분할이란? 장단점,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 (0) | 2024.06.06 |
우선주와 보통주의 차이, 보통주 전환 (0) | 2024.06.05 |
주식옵션 뜻: 콜옵션이란 풋옵션, 옵션의 요소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