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초보도 알면 돈 되는

주식 액면분할이란? 장단점,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

by 풍성한 연금부자 2024. 6. 6.

목차

1. 주식 액면분할이란?

2.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

3. 액면분할 장단점

3. 액면분할 사례

 

주식 시장에서 기업들은 다양한 이유로 액면분할을 실시합니다. 액면분할이란 무엇인지, 왜 기업들이 액면분할을 하는지, 그리고 투자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액면분할이란? 장단점,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

1. 주식 액면분할이란?

액면분할이란 주식의 *액면가를 일정 비율로 분할하여 주식 수를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액면가: 주식을 처음 발행할 때 정하는 기본 가격)

 

예를 들어, 한 주의 액면가가 10,000원인 주식을 1:2로 액면분할하면, 두 주의 액면가가 각각 5,000원이 됩니다. 이로 인해 주식의 총가치는 변하지 않지만, 주식의 개수가 증가하여 주당 가격이 낮아집니다.

 

반응형

 

액면분할 후 주식 가격이 낮아지면, 이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식의 본질적 가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장 가능성을 여전히 중요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주식 액면분할이란? 장단점,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
에코프로 주식분할 공시

 

 

위의 이미지는 에코프로라는 회사의 주식분할을 하기로 결정했다는 공시문입니다.

 

액면가가 500원에서 5분의 1인 100원으로 변경됩니다. 

액면가가 100원이 되면 액면가가 감소한 만큼 주식수는 증가하게 됩니다.

발행주식총수가 26,627,668에서 133,138,340이 되었죠.

 

즉, 주가는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지지만 주식수는 5배가 늘어나게 됩니다.

기업의 가치에는 사실 영향이 없지만 착시효과를 주게 됩니다.

1주에 500원 하던 주식이 100원이 되기 때문에 매우 싸 보이는 효과가 발행합니다.

 

반응형

 

2.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비싸서 거래가 어려웠던 주식의 가격을 낮춰서 거래를 쉽게 해주고, 거래량이 너무 적어서 매매가 어려웠던 기업은 주식수를 증가시켜서 거래를 활성화시켜줍니다. 기업가치 변화는 없지만 활성화 측면에서는 매우 유용한 방법입니다.

 

1. 주식 유동성 증가

유동성은 주식이 얼마나 쉽게 매매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주식의 유동성이 높을수록 투자자들이 원하는 시점에 주식을 쉽게 사고팔 수 있습니다. 액면분할을 통해 주식의 시장 가격이 낮아지면, 더 많은 투자자들이 해당 주식을 매매하게 되어 거래량이 증가하고 유동성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주식의 가격이 1주당 100만 원이라면 소액 투자자들이 접근하기 어렵지만, 액면분할 후 1주당 10만 원이 된다면 많은 투자자들이 쉽게 거래에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2. 소액 투자자 접근성 향상

주식 가격이 너무 높으면 소액 투자자들이 해당 주식을 매수하기 어렵습니다. 액면분할을 통해 주식 가격을 낮추면 소액 투자자들도 쉽게 해당 주식을 매수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한 주당 가격이 100만 원인 주식을 1:10으로 액면분할하여 주당 가격을 10만 원으로 낮추면, 소액 투자자들이 주식을 더 쉽게 매수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더 많은 투자자들이 주식 시장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기업의 투자자 기반을 넓힐 수 있습니다.

 

3. 심리적 가격 매력

낮아진 주식 가격은 투자자들에게 주식이 더 저렴하다는 심리적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추가 매수로 이어질 수 있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이 1주당 1,000,000원일 때보다 100,000원일 때 투자자들이 더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투자자들이 매수에 나서게 되어 주가 상승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4. 시장 인식 개선

주식 가격이 낮아지면 더 많은 거래가 이루어지고, 기업의 시장 인식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주가가 상승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주식의 가격이 낮아져 거래가 활발해지면, 기업의 주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더 많은 투자자들이 기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5. 기존 주주에 대한 혜택

액면분할은 기존 주주들에게도 혜택을 줄 수 있습니다. 주식의 시장 가격이 낮아지면서 주식의 유동성이 증가하고, 이는 주식의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 주주들은 더 많은 주식을 보유하게 되며, 주식의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주식의 시장 가격이 안정되고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6. 주식 옵션 및 보상 계획

액면분할은 기업의 임직원들에게 주식 옵션이나 보상을 제공할 때도 유리합니다. 주식의 시장 가격이 낮아지면, 임직원들이 주식을 매수하거나 옵션을 행사하는 데 더 용이하게 됩니다. 이는 직원들의 동기부여와 기업 충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주식 옵션을 부여받은 임직원들이 주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수할 수 있게 되어 보상 효과가 커집니다.

 

7. 자본 확충

액면분할을 통해 주식의 유동성이 증가하고 주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기업이 추가 자본을 조달할 때 유리한 조건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성장과 확장 계획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유상증자를 통해 추가 자본을 조달할 때 투자자들이 더 쉽게 주식을 매수할 수 있어 자본 확충이 원활해집니다.

 

반응형

 

3. 액면분할의 장단점

액면분할의 장점

주식 유동성 증가주식의 가격이 낮아지면서 더 많은 투자자들이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주식의 거래량을 증가시키고, 시장에서의 유동성을 높입니다.

 

투자 심리 개선주가가 높을 때 소액 투자자들이 주식을 매수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액면분할을 통해 주가가 낮아지면 소액 투자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 투자 심리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지분 희석 없이 가시성 향상액면분할은 주식 수를 늘리지만 지분 희석 없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주주들이 보유한 지분 비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주식이 더 많은 투자자들에게 노출되는 효과를 줍니다.

 

주식 옵션 및 보상 계획에 유리주식 가격이 낮아지면 기업의 임직원들이 보유한 주식 옵션이나 보상 계획의 행사가 더 용이해집니다. 이는 직원들의 동기 부여 및 충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액면분할의 단점

단기적 주가 하락 가능성액면분할 직후 주가가 일시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주가가 낮아졌다는 인식을 갖게 되어 매도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 가치 오해 가능성주식 분할로 인해 주식 수가 증가하더라도, 기업의 실질적인 가치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 투자자들은 이를 오해하여 비합리적인 기대를 가질 수 있습니다.

 

거래 비용 증가주식 거래량이 늘어남에 따라 거래 비용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소액 투자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심리적 효과의 일시성액면분할이 초기에는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를 줄 수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기업의 실적이나 시장 상황에 따라 주가가 다시 변동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4. 액면분할 사례

액면분할 사례는 다양한 기업에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유명한 대기업들이 액면분할을 통해 주식의 유동성을 높이고 투자자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를 자주 사용합니다.

 

1. 삼성전자 (2018년)

삼성전자는 2018년 50:1의 비율로 액면분할을 실시했습니다. 기존에 1주당 액면가가 5,000원이었던 주식이 100원으로 변경되면서 주식 수가 50배로 늘어났습니다. 이로 인해 주식 가격이 크게 낮아져 소액 투자자들이 삼성전자 주식을 쉽게 매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액면분할 후 삼성전자의 주식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고 주가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2. 애플 (Apple Inc.)

애플은 여러 차례 액면분할을 실시한 바 있습니다. 가장 최근의 액면분할은 2020년에 4:1 비율로 이루어졌습니다. 기존의 한 주가 4주로 분할되면서 주식 가격이 4분의 1로 낮아졌습니다. 애플의 주가는 이미 높은 수준에 있었기 때문에, 액면분할을 통해 더 많은 투자자들이 애플 주식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주식 거래가 활발해졌고, 주식의 유동성도 증가했습니다.

3. 테슬라 (Tesla Inc.)

테슬라는 2020년에 5:1 비율로 액면분할을 실시했습니다. 이는 주식 가격이 크게 상승한 후 이루어진 조치로, 액면분할을 통해 주식 가격을 낮추어 더 많은 투자자들이 테슬라 주식을 매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액면분할 후 테슬라의 주식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고, 주가 역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4. 아마존 (Amazon.com Inc.)

아마존은 1990년대 후반에 여러 차례 액면분할을 실시했습니다. 1998년과 1999년에 각각 2:1 비율로 액면분할을 했습니다. 이로 인해 주식 수가 두 배로 늘어났으며, 주식 가격은 반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이러한 액면분할은 당시 아마존의 주가 상승에 따라 투자자 접근성을 높이고,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5. 구글 (Alphabet Inc.)

구글(현재의 알파벳)은 2014년에 2:1 비율로 액면분할을 실시했습니다. 이 액면분할의 독특한 점은 A주와 C주로 나누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기존 주주들에게 동일한 비율로 두 종류의 주식을 배분했습니다. 이로 인해 주식 수가 두 배로 늘어났으며, 주식의 시장 가격이 반으로 낮아져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6.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Corp.)

마이크로소프트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여러 차례 액면분할을 실시했습니다. 가장 최근의 액면분할은 2003년에 이루어졌으며, 2:1 비율로 주식을 분할했습니다. 이로 인해 주식 수가 두 배로 늘어났고, 주식 가격이 반으로 낮아져 투자자들이 더 쉽게 주식을 매수할 수 있었습니다.

 

같이 보시면 도움이 되는 글

 

액면가란: 발행가와의 차이점

주식의 액면가액은 주식의 기본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반면, 발행가액은 주식이 실제로 발행되는 시장 가격을 의미합니다. 발행가액은 액면가액과 다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은 자본을 효

ehrtjtlf.tistory.com

 

 

시가총액이란? 주가보다 중요한 이유

목차1. 시가총액이란?2. 시가총액의 분류와 한국주식의 예3. 시가총액의 중요성 많은 주식 투자자들이 주가를 매일 확인합니다. 오늘은 얼마나 올랐는지 얼마나 떨어졌는지 확인하며, 기뻐하기

ehrtjtlf.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