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용
1. 배당락, 배당락일이란?
2. 배당기준일과 배당락의 발생과정
3. 공시로 배우는 배당락일
4. 기업 배당락일 정보 보는 곳
5. 배당락을 이용한 투자 시 고려사항
배당락은 주식시장에서 배당금을 지급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식 투자자들은 배당금을 받기 위해 특정일 전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하는데, 이 특정일을 기준으로 주식 가격이 변동하게 됩니다.
1. 배당락, 배당락일이란?
배당락일
배당락일은 배당을 받기 위한 권리가 사라지는 날을 의미합니다.
배당금 지급을 받기 위해 주식을 매수해야 하는 마지막 날인 배당기준일 이후의 거래일입니다.
즉,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수한 투자자는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습니다.
배당락 효과
배당락은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배당금만큼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배당락일이 되면 주식 가격은 배당금만큼 하락합니다.이는 배당금을 지급받는 권리가 사라짐에 따라 주식의 가치가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거래소에서 규칙에 따라 인위적으로 조정하며, 조정되면서 주가가 하락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5월 1일 주가가 50,000원이고, 1,000원의 배당금을 지급했다면,
5월 2일 배당락일에는 주가가 49,000원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배당금 1,000원만큼 주가가 하락한 결과입니다.
2. 배당기준일과 배당락의 발생과정
배당락일 → 배당기준일 → 배당지급일
※ 우리나라는 주식을 매수하면 결제가 이루어지기까지 2영업일이 소요됩니다.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려면 배당기준일 2영업일 전에는 주식을 매수,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배당기준일
기업이 배당금을 지급하기 위해 특정 날짜를 설정합니다. 이 날짜를 배당기준일이라고 합니다. 즉, 이 날짜에는 꼭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우리나라는 주식을 매수하면 결제가 이루어지기까지 2영업일이 소요됩니다.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려면 배당기준일 2영업일 전에는 주식을 매수,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배당락일
배당기준일 다음날부터 즉,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수한 투자자는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습니다.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주식을 매수하려면 2영업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제 배당락일은 매수 마감일 다음날로 봅니다. 공휴일이 있다면 공휴일을 제외하고 2일을 계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배당기준일이 5/6일이라면,
5/5일(공휴일)을 제외하고 5/3일까지는 주식을 매수하고 결제를 완료해야 합니다.
5/4일 부터는 주식을 매수하여도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계~~~속 보유하고 계실꺼라면 다음 배당에는 받을 수 있겠지만요^^
배당지급일
배당금이 지급되는 날입니다. 배당기준일에 주주명부에 등록된 주주들에게 배당금이 지급됩니다.
3. 공시로 배우는 배당락일
아래 이미지는 E1의 배당결정 공시입니다.
6번 항목: 배당기준일이 7/31일입니다.
그렇다면 배당락일은 언제일까요?
매수 마감일은 이틀전인 7/29일이고, 배당락일은 7/30일이 됩니다.
배당기준일 이틀 전인 7/29일에 주식을 매수했다면 배당기준일인 7/31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즉, 배당락일인 7/30일부터는 주식을 팔아도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7번 항목: 배당금지급일은 8/13일입니다.
요약하자면,
배당기준일은 7/31일이며,
이틀 전인 7/29일까지 주식을 매수하거나 보유하고 있으면,
8/13일에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7/30일부터는 주식을 팔아도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기업 배당락일 정보 보는 곳
1.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공시통합검색 → 검색창에 보고서명: 현금·현물배당결정으로 검색 → 회사명을 넣거나, 그냥 검색
2. 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주식탭 → 배당정보 → 기업명을 넣거나, 그냥 검색
5. 배당락을 이용한 투자 시 고려사항
- 주가 변동성: 배당락일 전후로 주가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배당금 크기: 배당금의 크기가 크다면 배당락일 주가 하락폭도 클 수 있습니다.
- 세금: 배당소득에 대한 세금이 발생하므로 세후 수익률을 고려해야 합니다.
- 시장 상황: 배당락일 전후로 시장 상황이 변동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시장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권리락 뜻: 기준일, 이후 주가, 투자전략
내용1. 권리락이란?2. 권리락의 종류와 예시3. 권리락의 주식시장 영향4. 권리락을 이용한 투자전략 권리락은 특정한 권리를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거래일이 지나고, 그 권리가 사라지는 것을 의
ehrtjtlf.tistory.com
무상증자란: 권리락, 절차와 공시해석
목차1. 무상증자란?2. 무상증자는 주가에 왜 호재인가?3. 무상증자의 절차와 공시 해석4. 유상증자와의 차이점 5. 한국 무상증자의 예시 무상증자는 기업이 주주들에게 대가를 받지 않고 새로운
ehrtjtlf.tistory.com
유상증자란
내용1. 유상증자란? (일반공모, 주주배정, 제3자배정) 2. 유상증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3. 절차와 공시 해석4. 무상증자와의 차이점5. 한국 유상증자의 예시 증자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ehrtjtlf.tistory.co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식 초보도 알면 돈 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워런트증권: ELW 총정리 (0) | 2024.07.22 |
---|---|
BPS란: 주당순자산가치 총정리 (0) | 2024.07.21 |
PSR 이란: 주가매출비율 총정리 (0) | 2024.07.17 |
신주인수권 증서: 유상증자 신주인수권 매매방법 (1) | 2024.07.17 |
원금보장형 ELS 종류: ELB 상품과 ELD (0) | 202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