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초보도 알면 돈 되는

자사주 소각 뜻, 소각효과, 대표사례

by 풍성한 연금부자 2024. 7. 12.

내용

1. 자사주 소각이란?

2. 왜 자사주를 소각할까?

3. 자사주 소각으로 주가상승을 이끈 대표사례

 

자사주소각은 기업이 주주 가치를 제고하고 주가를 안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재무 전략입니다. 이는 주식 수를 줄이고, 주당 가치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그러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에는 현금 유출과 같은 단점도 존재하므로, 기업은 신중하게 자사주 소각을 결정해야 합니다.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1. 자사주 소각이란?

자사주 소각은 기업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자사주(자기 회사의 주식)를 매수하여 주식시장에서 완전히 소각(폐기)하는 행위입니다.

 

이는 주식 수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주당 순이익(EPS)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주가를 올리는 목적으로 실시될 경우 오히려 기업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합니다.

 

반응형

 

쉬운 이해를 위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유명한 신발회사에서 단 100개의 한정판 신발을 출시해서 팔았습니다.
그런 후에 신발회사에서 30개의 신발을 다시 사들여서 폐기처분 해버렸습니다.
그러므로 시중에는 단 70개의 한정판 신발만 남게되면서 100개였을 때보다 더 가치가 상승하겠죠?


앞서 신발을 샀던 70명의 고객(주주)들은 한정판 신발(주식)을 더 가치있게 느낄 것이며,
신발회사에 대해 더 좋은 이미지를 갖게 될 것입니다. 

 

 

이처럼,

기업이 자사주 소각을 함으로써,

남아있는 주식의 가치를 높이고 주주들에게 이익을 돌려주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업은 주주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2. 왜 자사주를 소각할까?

 

  1. 주주 가치 제고: 자사주를 소각하면 유통 주식 수가 감소하여 기존 주주의 주당 가치가 증가합니다.
  2. 주가 안정화 및 상승: 자사주 매입은 시장에서 주식 수요를 증가시켜 주가를 부양하고 안정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을 때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를 지지할 수 있습니다.
  3. 재무 비율 개선: 자사주 소각은 주당 순이익(EPS)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주식 수와 자기자본이 감소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4. 잉여 자본의 효율적 활용: 잉여 현금을 자사주 매입에 사용하여 불필요한 현금 보유를 줄이고, 이를 통해 자본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5. 배당 대안 제공: 자사주 매입은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주주들에게 제공합니다. 이는 특히 배당세가 높은 국가에서 효과적입니다.

 

반응형

 

3. 자사주 소각으로 주가 상승을 이끈 대표 사례

1. 삼성전자

2018년 7월, 삼성전자는 약 7.1조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단행했습니다.

당시 주가는 50만 원대 후반이었으나, 소각 이후 꾸준히 상승하여 2023년 1월에는 100만 원대를 돌파했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건전한 재무 상태와 뛰어난 수익성, 그리고 반도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습니다. 또한,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당 순이익(EPS)을 향상시키고 배당률을 높이는 등 주주 가치 창출에 대한 노력을 보여주었습니다.


2. SK텔레콤

2021년 10월, SK텔레콤은 약 1.9조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실시했습니다.

당시 주가는 30만 원대 초반이었으나, 소각 이후 꾸준히 상승하여 2023년 1월에는 40만 원대 후반까지 올랐습니다.


SK텔레콤은 5G 통신 시장의 성장과 새로운 사업 진출 등을 통해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평가를 받았습니다. 또한,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주 가치를 높이고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제공하는 데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반응형


3. 메리츠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는 2022년 3월과 6월에 두 차례에 걸쳐 총 약 1조 9천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진행했습니다.

소각 이후 주가는 꾸준히 상승하며 2023년 7월 현재 5만 원대 후반까지 올랐습니다.


메리츠금융지주의 경우, 공격적인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당 순이익(EPS)을 향상시키고 매력적인 배당 수익률을 제공하는 등 주주 친화적인 경영 전략을 선보였습니다. 또한, 금융지주회사로서 안정적인 수익 구조와 건전한 경영 상태를 바탕으로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4. 기타 주요 사례

넷스핀: 2023년 5월, 약 3천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
동양인터내셔널: 2023년 4월, 약 2천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
에코밸브: 2023년 3월, 약 1천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자사주 소각이란: 소각효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