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초보도 알면 돈 되는

이브이에비타(EV/EBITDA) 지표 계산방법과 해석, 실무 활용, PER와의 차이점

by 풍성한 연금부자 2024. 8. 1.

내용

1. 이브이에비타(EV/EBITDA)의 계산 방법

2. 이브이에비타로 저평가 기업 찾기

3. 실무 활용 사례

4. PER(주가수익비율) 지표와의 차이점

5. 장점과 단점

 

 
이브이에비타(EV/EBITDA) 지표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재무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지표는 기업의 현재 시장 가치를 반영하는 EV 기업의 영업이익 EBITDA를 비교하여 기업의 재무 상태와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브이에비타(EV/EBITDA) 지표 계산방법과 해석, 실무 활용, PER와의 차이점

 

1. 이브이에비타(EV/EBITDA)의 계산 방법

반응형

 

EV (Enterprise Value)

EV는 기업의 전체 시장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EV = 시가총액 + 순부채

(순부채 = 총 부채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시가총액: 주식의 시장 가격에 발행 주식 수를 곱한 값.
  • 총 부채: 단기 부채와 장기 부채를 포함한 기업의 전체 부채.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과 현금과 같은 자산.

 

EBITDA

EBITDA는 영업이익에 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상각비를 더한 값으로, 기업의 영업 활동에서 창출되는 현금 흐름을 나타냅니다.
 
즉, 이 기업이 얼마를 버는지를 나타냅니다.
 

EBITDA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무형자산상각비

 

EV/EBITDA의 계산 방법

EV/EBITDA는 EV를 EBITDA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EV/EBITDA = EV ÷ EBITDA

 
예를 들어,
 
한 기업의 EV가 1,000억 원이고, EBITDA가 100억 원이라면 EV/EBITDA는 다음과 같습니다.
 
EV/EBITDA = 1,000억원 ÷ 100억원= 10
 

 

2. 이브이에비타로 저평가 기업 찾기

반응형

 

저평가 기업

EV/EBITDA 비율이 낮은 기업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에 비해 시장에서의 가치가 낮게 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고평가 기업

EV/EBITDA 비율이 높은 기업은 상대적으로 고평가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에 비해 시장에서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브이에비타(EV/EBITDA) 지표 계산방법과 해석, 실무 활용, PER와의 차이점
이브이에비타(EV/EBITDA) 지표 계산방법과 해석, 실무 활용, PER와의 차이점

 

3. 실무 활용 사례

반응형

 

투자 분석

투자자들은 EV/EBITDA를 사용하여 기업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고, 저평가된 기업을 식별하여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산업 내에서 EV/EBITDA가 낮은 기업을 찾고, 그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수익성을 분석하여 투자 기회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인수 합병

기업의 인수 합병(M&A) 과정에서도 EV/EBITDA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수 대상 기업의 EV/EBITDA를 분석하여 적정 인수 가격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상에 임할 수 있습니다.
 
EV/EBITDA 비율을 통해 인수 대상 기업의 가치를 공정하게 평가하고, 거래의 합리성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4. 이브이에비타와 PER의 차이점 

반응형

 

이브이에비타와 PER(Price to Earnings Ratio)는 모두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재무 지표지만, 각각의 지표가 반영하는 요소와 사용 목적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EV/EBITDA기업의 전체 가치를 영업이익과 비교하여 평가하며, 자본 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기업 간의 비교를 용이하게 합니다.
 
반면, PER는 주가를 주당 순이익과 비교하여 주가의 적정성을 평가하며, 순이익을 기준으로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합니다.
 
 

* PER(Price to Earnings Ratio)

PER은 기업의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주가 대비 순이익 비율을 통해 주가가 적정한지,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PER 지표에 대해 아래글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PER 이란: 주가수익비율 총정리

내용1. 주가수익비율(PER) 계산방법2. 기준과 투자전략3. 한계와 주의사항 '가성비'라는 말 아시죠? 주식시장에도 가성비 높은 종목을 고르는 기준이 있습니다. 바로 주가 수익 비율(PER, Price to Ear

ehrtjtlf.tistory.com

 

 

< EV/EBITDA와 PER의 주요 차이점 >

  EV/EBITDA PER
정의 EV를 EBITDA로 나눈 비율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
계산 방법 EV/EBITDA = EV ÷ EBITDA PER = 주가 ÷ EPS
반영 요소 EV: 시가총액 + 순부채 주가, EPS
사용 목적 기업 간 비교, 인수 합병 평가 주식 평가, 투자 결정
장점 자본 구조 무관, 현금 흐름 반영 계산 간단, 주가 적정성 평가
단점 비용 구조 미반영 가능성 일회성 항목 영향
적용 대상 EBITDA를 생성하는 기업에 유리 순이익이 있는 기업에 유리
비교 용이성 같은 산업 내 비교 용이 모든 산업 내 비교 가능

 

 

4. 장점과 단점

반응형

 

장점

  • 비교 용이성: EV/EBITDA는 같은 산업 내 다양한 기업을 비교하는 데 유용합니다.
  • 현금 흐름 반영: EBITDA는 기업의 영업 활동에서 창출되는 현금 흐름을 반영하므로, 기업의 실제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유리합니다.
  • 자본 구조 무관: EV는 부채와 자본을 모두 포함하므로, 자본 구조의 차이를 배제하고 기업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단점

  • 비용 반영 부족: EBITDA는 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상각비를 제외하므로, 기업의 전체 비용 구조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합니다.
  • 산업 차이: 다양한 산업 간의 EV/EBITDA 비교는 어려울 수 있으며, 산업 특성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일회성 항목: 일회성 비용이나 수익을 반영하지 않으므로, 기업의 일시적인 재무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브이에비타(EV/EBITDA) 지표 계산방법과 해석, 실무 활용, PER와의 차이점
이브이에비타(EV/EBITDA) 지표 계산방법과 해석, 실무 활용, PER와의 차이점

 

 

※ 같이 보시면 도움이 되는 글

 

EPS란: 주당순이익 계산방법, 희석 주당이익

내용1. 주당 순이익(EPS) 계산방법2. 주당 순이익(EPS)의 활용법3. 주당 순이익(EPS) 활용 시 주의사항4. 희석 주당이익 (Diluted EPS) 주당 순이익(EPS, Earnings Per Share)은 주식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지표

ehrtjtlf.tistory.com

 

 

PBR 이란: 주가순자산비율 총정리

내용1. 주가순자산비율(PBR) 계산 방법2. 주가순자산비율(PBR)의 기준과 해석3. 활용 및 예시4. 장점과 단점  가치투자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벤저민 그레이엄은 "주식은 적정 수준보다 낮은 가격에

ehrtjtlf.tistory.com

  

 

BPS란: 주당순자산가치 총정리

내용1. 주당순자산가치(BPS) 계산 방법2. 주당순자산가치(BPS)의 기준과 해석3. 활용과 예시4. 장점과 단점 주당순자산가치(BPS)는 기업의 순자산을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한 주당 순자산 가치를

ehrtjtlf.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