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용
1. 환헤지 ETF
2. 환노출 ETF
3. 환헤지 ETF와 환노출 ETF 비교
4. 투자 시 고려사항
ETF(Exchange-Traded Fund)는 투자자들이 특정 지수, 상품, 또는 자산군에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집단투자상품입니다.
ETF 상품 중에서 해외자산에 투자하는 상품들은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환헤지와 환노출 방식을 활용합니다.
1. 환헤지 ETF
환헤지 ETF는 외국 자산에 투자하면서 환율 변동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된 ETF입니다.
이는 주로 외환 파생상품(선물, 옵션, 스왑 등)을 사용하여 환율 변동에 따른 손익을 상쇄하거나 제거합니다.
환헤지 ETF 상품은 상품명 끝에 (H)를 붙입니다.
1. 작동 원리
- 외화 자산 투자: 외국 주식이나 채권 등 외화로 표시된 자산에 투자합니다.
- 환율 헤지: 외환 파생상품을 사용해 환율 변동 리스크를 제거합니다.
- 목표: 외국 자산의 실질적인 성과에 집중하고 환율 변동의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2. 장점
- 환율 리스크 제거: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수익 안정화: 외국 자산의 실질적인 성과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3. 단점
- 헤지 비용: 외환 파생상품을 사용함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잠재적 이익 손실: 환율 변동이 유리할 경우, 추가적인 수익을 놓칠 수 있습니다.
2. 환노출 ETF
환노출 ETF는 외국 자산에 투자하면서 환율 변동 리스크를 헤지 하지 않는 ETF입니다.
이 ETF는 외화 자산의 성과뿐만 아니라 환율 변동에 따른 손익도 포함하여 전체 수익률에 영향을 미칩니다.
1. 작동 원리
- 외화 자산 투자: 외국 주식이나 채권 등 외화로 표시된 자산에 투자합니다.
- 환율 노출: 환율 변동에 따라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며, 이는 ETF의 수익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목표: 외국 자산의 성과와 환율 변동에 따른 잠재적 이익을 모두 추구합니다.
2. 장점
- 헤지 비용 없음: 외환 파생상품을 사용하지 않아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잠재적 이익: 환율 변동이 유리할 경우,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단점
- 환율 리스크 증가: 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수익 변동성: 환율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크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 |
![]() |
3. 환헤지 ETF와 환노출 ETF 비교
환헤지 ETF | 환노출 ETF | |
환율 리스크 | 헤지를 통해 환율 리스크를 최소화 | 환율 변동에 직접 노출 |
헤지 비용 | 헤지 비용이 발생 | 헤지 비용이 없음 |
잠재적 이익 | 환율 변동에 따른 이익이 제한적 | 환율 변동에 따른 추가 이익 가능 |
수익 변동성 | 외국 자산의 실질 성과에 집중 | 외국 자산 성과와 환율 변동 모두 반영 |
주요 대상 | 환율 변동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투자자 | 환율 변동을 통해 추가 이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
3. 투자 시 고려사항
환헤지 ETF | 환노출 ETF | |
투자 목표 |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며 환율 변동 리스크를 피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 환율 변동에 따른 추가 수익을 기대하고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 적합 |
시장 전망 | 환율 변동이 불확실하거나 불리할 때 적합 | 특정 통화의 강세가 예상될 때 적합 |
투자 기간 | 단기 또는 중기 투자에 유리 | 장기 투자에 적합 |
비용 | 헤지 비용을 감안해야 함 | 헤지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 |
![]() |
![]() |
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
ETF란: 레버리지와 인버스, ETN과의 차이점
목차1. ETF란?2. ETF의 종류와 내용3. ETF 레버리지와 인버스4. ETF의 장점과 단점5. ETN과의 차이점 ETF( Exchange-Traded Fund)는 주식처럼 거래되는 투자 펀드로, 다양한 자산을 바구니에 담아 투자자에게
ehrtjtlf.tistory.com
인버스란? 인버스 ETF에 대한 모든 것
목차1. 인버스 ETF란?2. 인버스 ETF의 장단점3. 투자 시 고려사항4. 한국의 대표적인 인버스 ETF는? 주식 인버스(Short or Inverse ETF)는 기초 자산이나 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을 내는 투자 상품입니다. 일
ehrtjtlf.tistory.com
레버리지 뜻: 레버리지 효과
목차1. 레버리지 효과란?2. 주식 선물에서의 레버리지 효과는?3. 레버리지 비율4. 주식 선물 작동방식의 요약 1. 레버리지 효과란?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는 자산을 매입할 때 차입 자금을 활
ehrtjtlf.tistory.com
'주식 초보도 알면 돈 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배당주 투자 전략, 배당금 지급 일정 순서, 배당수익률 순위 보는 방법 (0) | 2024.07.31 |
---|---|
퀀트 투자란: 시작방법, 프로그램 (0) | 2024.07.30 |
불마켓과 베어마켓: 시장의 두 얼굴 이해하기 (0) | 2024.07.29 |
유동성장세와 실적장세: 투자전략과 비교 (0) | 2024.07.29 |
성장주와 가치주: 투자 전략 (0)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