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초보도 알면 돈 되는

무상감자 유상감자: 목적, 감자 후 주가

by 풍성한 연금부자 2024. 7. 28.

내용

1. 감자란?

2. 무상감자란? 감자 후 주가

3. 유상감자란? 감자 후 주가

4. 무상감자와 유상감자의 차이점

 

기업은 때때로 자본금을 줄이는 조치를 취합니다. 이를 감자(減資)라고 합니다.

 

감자는 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재무 전략 중 하나입니다. 지금부터 감자의 개념과 목적, 그리고 유상감자와 무상감자의 차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1. 감자란?

먼저 감자란 무엇일까요?

주식시장에서 감자는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본을 감소한다는 뜻입니다.

 

기업의 자본금은 (주식의 액면가 X 주식 수)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기업은 주식의 액면가를 낮추거나, 주식 수를 줄여 자본감소를 합니다.

 

반응형

 

2. 무상감자란? 무상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는 자본금의 감소를 통해 재무 구조를 개선하고 *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자본잠식: 자산이 부채를 모두 감당하지 못하는 상태로, 흔히 부채비율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

 

이는 기업이 현금 유출 없이 자본금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주주들에게 별도의 대가를 지급하지 않기때문에 '무상'이라는 용어가 붙습니다.

 

반응형

 

무상감자를 하면 소각하는 만큼 감자차익이 발생합니다.

 

감자차익은 실제 회사로 들어오는 돈은 아닙니다. 주주들에게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주식을 없앴으니, 회사가 주주와의 주식 거래에서 이익을 본 것이라고 간주해 회계상 장부에 '자본잉여금'으로 봅니다.

 

자본금이 줄어드는 만큼 감자차익이 생기고, 이 감자차익으로 결손금을 털어냅니다.

 

무상감자 목적

  1. 재무구조 개선: 부채비율을 낮추고, 재무구조를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해.
  2. 손실 보전: 과거의 손실을 보전하여 미래의 재무제표를 개선하기 위해.

 

무상감자 후 주가

통상 무상감자는 주가에 악재로 작용합니다.

 

주주들의 보유 주식은 줄어드는데 아무런 보상이 없고,

 

기업의 재무상태가 악화되었을때 시행하는 것이 통상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가폭락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

 

3. 유상감자란? 유상감자 후 주가

유상감자는 기업이 자본금을 줄이기 위해 주식을 소각하거나 주식의 액면가를 낮추면서 주주들에게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지급하는 절차입니다.

 

주주들은 주식을 반환하고, 기업은 주주들에게 현금이나 다른 자산으로 보상합니다.

 

주주에게 보상하지 않고 자본을 감소하는 무상감자가 자본잠식 등 악화된 재무구조를 개선할 목적으로 선택한다면, 유상감자는 정반대의 목적이 큽니다. 

 

유상감자 목적

1. 재무구조 개선

기업 규모에 비해 자본금이 너무 많아 자본의 효율성이 떨어질 경우에 자본금 규모를 적절하게 줄여 기업가치를 높이거나 유통주식수를 줄여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시행합니다.

 

보통 기업 규모에 비해 자본금이 너무 많으면 주당순이익(EPS) 같은 성과 지표가 안좋게 나옵니다. 주당순이익은 기업이 1주당 얼마나 수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큰 자본금을 줄여 지표를 높일 수 있고, 지표가 올라가면 많은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비춰집니다.

 

※ 주당순이익(EPS)에 대해 아래글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EPS란: 주당순이익 계산방법, 희석 주당이익

내용1. 주당 순이익(EPS) 계산방법2. 주당 순이익(EPS)의 활용법3. 주당 순이익(EPS) 활용 시 주의사항4. 희석 주당이익 (Diluted EPS) 주당 순이익(EPS, Earnings Per Share)은 주식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지표

ehrtjtlf.tistory.com

 

 

반응형

 

2. 주주가치 제고

주식 수를 줄여 주당 가치를 높이고, 주주들에게 보상을 지급하여 주주가치를 증대시킵니다. 주주 입장에서 기존 지분율을 유지한 상태로 감자비율만큼 보상을 받을 수 있고, 유상감자 후 유통주식수가 줄어들어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기업 전략적 변화

기업의 규모를 줄이게 되면 매각 혹은 합병시 유리합니다. 

 

유상감자 후 주가

주주들에게 실제로 보상이 주어지고, 주당 가치도 높아지는 등 호재로 여겨지는 요인이 많기 때문에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4. 무상감자와 유상감자의 차이점

  무상감자 유상감자
목적 자본금을 감소시켜 자본잉여금 증가 또는 결손금 보전 자본금을 감소시켜 재무구조 개선 또는 주주환원
방식 주주에게 지급금 없이 주식을 소각하거나 액면가를 감소 주주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고 주식을 소각
자본금 변동 감소 감소
주주 권리 주주에게 자금 환원이 없음 주주에게 자금이 환원됨
회계 처리 자본 감소와 함께 자본잉여금 증가 또는 결손금 감소 자본 감소와 함께 현금 유출 발생
주식 수 변동 감소 또는 변동 없음 감소
재무 영향 자본 구조 개선 및 결손 보전 자산 감소 및 자본 감소
사례 결손금을 보전하기 위해 무상감자 실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비핵심 자산 매각 후 유상감자 실시

 

반응형

 

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

 

무상증자란: 권리락, 절차와 공시해석

목차1. 무상증자란?2. 무상증자는 주가에 왜 호재인가?3. 무상증자의 절차와 공시 해석4. 유상증자와의 차이점 5. 한국 무상증자의 예시 무상증자는 기업이 주주들에게 대가를 받지 않고 새로운

ehrtjtlf.tistory.com

 

 

유상증자란

내용1. 유상증자란? (일반공모, 주주배정, 제3자배정) 2. 유상증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3. 절차와 공시 해석4. 무상증자와의 차이점5. 한국 유상증자의 예시 증자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ehrtjtlf.tistory.com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무상감자 유상감자: 감자 후 주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