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초보도 알면 돈 되는

리픽싱 이란

by 풍성한 연금부자 2024. 7. 27.

내용

1. 리픽싱이란?

2. 리픽싱의 조건

3. 리픽싱의 방식

4. 구체적인 예시

5. 리픽싱의 한계와 주의사항

 
리픽싱(Refixing)은 주식 관련 금융 상품, 특히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와 같은 메자닌 채권의 전환가격이나 행사가격을 조정하는 메커니즘을 의미합니다.
 
리픽싱은 시장 상황이나 특정 조건의 변화에 따라 기존 조건을 수정함으로써 투자자와 발행자 모두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리픽싱이란?

1. 리픽싱이란?

리픽싱은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메자닌 금융 상품의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격을 일정 조건에 따라 재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가 하락 등으로 인해 기존 조건이 불리해진 경우, 투자자 보호를 위해 가격을 조정하는 메커니즘입니다.
 
리픽싱은 주식 관련 금융 상품의 초기 발행 시점에서의 조건이 시간이 지나면서 시장 상황에 맞지 않게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도입됩니다.
 
주가가 하락하거나 시장 환경이 변동하는 경우, 초기 조건 그대로 유지할 경우 투자자가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리픽싱을 통해 이러한 리스크를 완화하고, 투자자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장치입니다.
 

반응형

 

2. 리픽싱의 조건

리픽싱 발동 요건

  • 주가 하락: 주가가 일정 수준 이하로 하락할 경우 리픽싱이 발동됩니다.
  • 시장 상황 변화: 시장 환경의 급격한 변화나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리픽싱이 발동될 수 있습니다.

리픽싱 주기

  • 정기 리픽싱: 매 분기, 반기, 연말 등 정해진 주기마다 주가를 평가하여 리픽싱을 실행합니다.
  • 비정기 리픽싱: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마다 비정기적으로 리픽싱을 실행합니다.

리픽싱 한도

  • 상한/하한 설정: 전환가격이나 행사가격의 조정 범위를 설정하여 무한정한 조정을 방지합니다. 예를 들어, 전환가격이 최초 전환가격의 70%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3. 리픽싱의 방식

전환가격 조정

  • 주가 기반 조정: 주가가 일정 수준 이하로 하락하면 전환가격을 하향 조정합니다. 예를 들어, 초기 전환가격이 10,000원인 경우, 주가가 8,000원 이하로 하락하면 전환가격을 8,000원으로 조정합니다.
  • 비율 기반 조정: 주가 하락 비율에 따라 전환가격을 일정 비율로 조정합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20% 하락하면 전환가격도 20% 하향 조정합니다.

행사가격 조정

  • 시장 가격 기반 조정: 행사가격을 시장 가격에 맞추어 조정합니다. 예를 들어, 초기 행사가격이 12,000원인 경우, 주가가 9,000원으로 하락하면 행사가격을 9,000원으로 조정합니다.
  • 비율 기반 조정: 주가 변동 비율에 따라 행사가격을 일정 비율로 조정합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30% 하락하면 행사가격도 30% 하향 조정합니다.

 

반응형

 

4. 구체적인 예시

전환사채(CB) 리픽싱

상황 설정

  • 전환사채 발행일: 2024년 1월 1일
  • 만기일: 2027년 1월 1일
  • 초기 전환가격: 10,000원
  • 리픽싱 조건: 주가가 7,000원 이하로 하락하면 전환가격을 재조정 (리픽싱 하한선: 6,500원)
  • 리픽싱 주기: 매 분기

시나리오 진행

  1. 초기 설정: A 기업은 자본을 조달하기 위해 3년 만기의 전환사채를 발행했습니다. 초기 전환가격은 10,000원입니다.
  2. 첫 번째 분기 (2024년 3월 31일):
    • 주가: 9,500원
    • 리픽싱 발동: 주가가 7,000원 이하로 하락하지 않았으므로 리픽싱이 발동되지 않음.
    • 전환가격: 10,000원 (변경 없음)
  3. 두 번째 분기 (2024년 6월 30일):
    • 주가: 6,800원
    • 리픽싱 발동: 주가가 7,000원 이하로 하락했으므로 리픽싱 발동.
    • 리픽싱 후 전환가격: 전환가격을 7,000원으로 하향 조정.
  4. 세 번째 분기 (2024년 9월 30일):
    • 주가: 6,300원
    • 리픽싱 발동: 주가가 6,500원 이하로 하락했으나, 리픽싱 하한선은 6,500원으로 설정되어 있어 이를 준수.
    • 리픽싱 후 전환가격: 전환가격을 6,500원으로 하향 조정.
  5. 네 번째 분기 (2024년 12월 31일):
    • 주가: 7,200원
    • 리픽싱 발동: 주가가 7,000원 이상이므로 리픽싱이 발동되지 않음.
    • 전환가격: 6,500원 (변경 없음)

 

반응형

 

5. 리픽싱의 한계와 주의사항

  1. 지나친 리픽싱 남발: 잦은 리픽싱은 발행 기업의 재무 구조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주가 희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투자자 보호: 리픽싱 조건이 너무 자주 변경되면 투자자 보호의 목적이 퇴색될 수 있습니다.
  3. 기업 신뢰도: 리픽싱이 빈번하면 기업의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발행 기업은 리픽싱 조건을 명확히 설정하고, 투자자에게 충분히 설명하여 신뢰를 유지해야 합니다.

 

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

 

메자닌 금융이란: 메자닌 채권

내용1. 메자닌 금융이란?2. 메자닌 금융의 특징3. 주요 상품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 이탈리아어 'mezzanino'에서 유래한 '메자닌(mezzanine)'은 1층과 2층 사이의 라운지 공간을 의미합

ehrtjtlf.tistory.com

 

 

교환사채란

내용1. 교환사채(EB)란?2. 교환사채의 장점3. 교환사채 투자 시 주의사항4. LG화학 교환사채 사례 교환사채(EB)는 발행 회사의 주식이 아닌, 다른 회사의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

ehrtjtlf.tistory.com

 

 

 

전환사채란 총정리

목차1. 전환사채란?2. 전환사채권 발행결정 공시 해석하기3. 자금조달의 목적4. 전환사채의 장점과 단점5. 전환사채의 실제 사례6. 신주인수권부사채와의 비교 전환사채(CB)는 투자자와 기업 모두

ehrtjtlf.tistory.com

 

 

신주인수권부 사채란

내용1. 신주인수권부사채란?2.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작동방식과 예시3. 전환사채와의 비교 신주인수권부사채(BW)는 기업이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사채의 한 형태로, 투자자에게 일정 기간

ehrtjtlf.tistory.com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리픽싱이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