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초보도 알면 돈 되는

어닝쇼크 뜻과 영향, 어닝서프라이즈와의 차이, 대응 전략

by 풍성한 연금부자 2024. 8. 2.

내용

1. 어닝 쇼크란?

2. 어닝 쇼크의 영향

3. 대응 전략

4. 어닝 서프라이즈와의 차이점

5. 대표 사례

 

어닝 쇼크(Earnings Shock)기업이 발표한 실적이 시장 예상치와 크게 벗어날 때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로 기업의 분기 실적 발표 시즌에 자주 언급되며, 예측보다 실적이 훨씬 저조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어닝쇼크 뜻과 영향, 어닝서프라이즈와의 차이, 대응 전략

1. 어닝 쇼크란?

반응형

 

어닝 쇼크는 기업이 발표한 분기 또는 연간 실적(매출, 순이익, 영업이익 등)이 시장의 예측치나 애널리스트의 컨센서스와 크게 차이가 날 때 발생합니다. 특히 예상보다 실적이 낮을 때 '어닝 미스' 또는 '어닝 쇼크'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어닝 쇼크의 원인

  1. 외부 경제 요인: 경제 전반의 불황, 경기 침체, 환율 변동, 원자재 가격 급등 등 외부 경제 요인들이 기업의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산업 내 경쟁: 업계 내 경쟁 심화로 인한 매출 감소, 시장 점유율 하락 등이 실적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내부 경영 문제: 경영진의 잘못된 판단, 비용 증가, 생산 문제, 신제품 출시 실패 등 내부적인 문제가 실적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예상치의 과대 평가: 애널리스트들이 기업의 실적을 과대 평가한 경우, 실제 실적이 예상치보다 낮게 나타나 어닝 쇼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어닝 쇼크의 영향

반응형

 

주가 급락

어닝 쇼크가 발생하면 투자자들의 실망감으로 인해 주가가 급락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시장 가치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투자자 신뢰 저하

어닝 쇼크는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자금 조달 및 주가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시장 전반의 파급 효과

대형 기업의 어닝 쇼크는 해당 기업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및 전체 시장에까지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 전반의 변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어닝쇼크 뜻과 영향, 어닝서프라이즈와의 차이, 대응 전략
어닝쇼크 뜻과 영향, 어닝서프라이즈와의 차이, 대응 전략

 

3. 어닝 쇼크에 대한 대응 전략

반응형

 

분산 투자

어닝 쇼크로 인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정 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어 전체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정보 분석 강화

기업 실적 발표 전에 충분한 정보 수집과 분석을 통해 예상치와 실제 실적 간의 괴리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리스크 관리

어닝 쇼크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을 위해 손절매 기준을 설정하고, 시장 상황에 따른 유연한 투자 전략을 구사합니다.

 

 

4. 어닝 서프라이즈와의 차이점

반응형

 

어닝 서프라이즈는 기업의 실제 실적이 시장 예상치(애널리스트들의 컨센서스)보다 더 높거나 낮게 나오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상보다 실적이 좋을 때 '긍정적 어닝 서프라이즈', 예상보다 실적이 나쁠 때 '부정적 어닝 서프라이즈'라고 합니다.

 

 

주요 차이점

1. 긍정적 vs 부정적

어닝 서프라이즈는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습니다.

어닝 쇼크는 주로 부정적인 경우에 사용됩니다.

 

2. 영향의 크기

어닝 서프라이즈는 예상치와 실제 실적 간의 차이를 의미하며, 그 차이가 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어닝 쇼크는 큰 차이를 의미하며, 주로 예상보다 크게 낮은 실적을 가리킵니다.

 

3. 주가 반응

긍정적 어닝 서프라이즈는 주가 상승을, 부정적 어닝 서프라이즈는 주가 하락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어닝 쇼크는 주가의 급격한 하락을 초래할 가능성이 큽니다.

 

예시를 통한 이해

어닝 서프라이즈

  • 긍정적: A사의 예상 주당 순이익(EPS)이 1.50달러였으나, 실제로는 1.80달러를 기록한 경우.
  • 부정적: B사의 예상 주당 순이익(EPS)이 1.00달러였으나, 실제로는 0.80달러를 기록한 경우.

어닝 쇼크

  • C사의 예상 주당 순이익(EPS)이 2.00달러였으나, 실제로는 0.50달러를 기록한 경우. 이는 예상보다 크게 낮은 실적을 의미하며, 주가가 급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5. 어닝 쇼크의 대표 사례

반응형

 

삼성전자 (2019년 1분기)

  • 삼성전자는 2019년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한 6조 2천억 원을 기록하며 어닝 쇼크를 경험했습니다. 이는 반도체 가격 하락과 수요 둔화가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애플 (2018년 4분기)

  • 애플은 2018년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이 시장 예상치보다 약 50억 달러 낮게 나타나며 어닝 쇼크를 일으켰습니다. 이는 중국 시장에서의 매출 부진과 아이폰 판매 감소가 주된 원인이었습니다.

테슬라 (2021년 2분기)

  • 테슬라는 2021년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예상보다 낮은 순이익을 발표하며 어닝 쇼크를 경험했습니다. 이는 차량 생산 차질과 공급망 문제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어닝쇼크 뜻과 영향, 어닝서프라이즈와의 차이, 대응 전략
어닝쇼크 뜻과 영향, 어닝서프라이즈와의 차이, 대응 전략

 

 

 

반응형